반응형

체온리듬 2

체온 변화의 리듬을 알라

체온 변화의 리듬 ‘엄마 손은 약손’ 엄마가 아이의 배를 문지르며 통증을 가라앉히던 옛 선조들의 지혜로움이 담긴 말입니다. 배가 아플 때 우리는 본능적으로 손을 배 부위에 대고 시계방향으로 마사지를 합니다. 엄마가 해 주셨던 기억 때문일까요? 혹 안해주셨을지라도 우리는 본능적으로 배에 대고 문지릅니다. 엄마와 아이, 손과 배, 두 개의 파동이 만나면서 복사열에 의해 체온이 상승하게되고 뭉치거나 막혀 차가워진 배가 차츰 따뜻해지면서 순환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또한 엄마가 아이를 등에 업어 울음을 달래주면 아이는 금방 곤히 잠에 빠져들게 됩니다. 몸은 내가 어떻게 회복되는지를 본능적으로 알고 움직이게 됩니다. 체온을 서로 교류하면서 막힌 것에 순환이 자연스럽게 일어나며 자연치유가 일어나게 하는 것입니다. 현..

가족건강 2023.05.02

뜨끈한 바닥이 숙면에 좋다?

온돌의 추억 어렸을 때 시골에 가면 장작불로 데워 따뜻하다 못해 뜨거운 온돌방에서 잠을 잤습니다. 밤에 타다가 남은 불을 아침에 살려 밥도 하고 소여물도 쑤어야 했고, 추운 겨울 밤, 밤새 온돌에 온기가 남아있게 하기 위해서는 온돌을 한껏 뜨겁게 달궈야 했습니다. 연탄은 도시에서 보일러가 보급되기 전에 연탄불로 방을 따뜻하게 만들었던 도구였습니다. 행여나 연탄불을 꺼뜨리는 날에는 온 가족이 추위에 오들오들 떨어야 했었습니다. 옛날 밤에 연탄을 갈고는 공기구멍을 약간만 열어놓아야 밤새 서서히 연탄이 태워지던 추억이 생각납니다. 아침에 한 번 갈고 오후에 다시 한 번 갈고, 보통 하루에 3번씩 새 연탄으로 바꾸었던 그 시절이 떠오릅니다. 이때는 방의 온도가 일정하지 않았고 오르락 내리락 거렸다고 보아야 하겠..

가족건강 2023.04.18
반응형